Posts by "월간마음수련"

“마음수련으로 아이들 마음에 더 가까워집니다” 인천법원 소년조사관 김경미씨의 이야기

인천법원 소년조사관 김경미(39)씨. 그녀는 학교 폭력, 절도 등으로 법원에 온 청소년들을 미리 조사하고 상담해서, 최종적으로 판사에게 소견서를 내는 일을 한다. 우리나라에 전문조사관이란 직업이 흔치 않았던 2002년부터 이 일을 시작한 그녀는 아이들에게 필요하다 싶으면 상담이나 정신 치료도 받게 하는 등 청소년들을 변화의 길로 이끄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10년 차 조사관이다. 진심으로 아이들을 도와주려면 내 마음부터 긍정적이고 편안해야 하기에 그녀는 매일매일 ‘마음 빼기’를 하며 그 꿈에 한발 더 다가서고 있다.

얼마 전에 중2 여자애를 만난 적이 있어요. 선생님들한테 욕하고 가출하고 온 아이였어요. 근데 이 아이가 첫마디부터 욕이더라고요. 말끝마다 욕을 하는데, 도저히 대화할 수가 없었습니다. 일단 안정이 필요할 것 같아, 3주 후 다시 만났어요.

알고 봤더니 상처가 많은 아이였습니다. 부모가 이혼하는 과정에서 매일 싸우는 모습을 봐야 했고, 이혼 후엔 엄마와 살게 됐는데 엄마는 일 때문에 늘 밖에 있고, 왕따도 당하고. 그 과정에서 아이가 터득한 건 ‘이기려면 욕을 하면 된다’였어요. 그래서 위기 상황이다 생각하면 욕부터 나왔던 거죠. 아이에게 “네 사정은 안타깝지만, 잘못했기 때문에 시설로 보내질 거다”라고 하니까 울면서 그래요. “왜 나만 가야 해요. 나를 왕따시켰던 애들, 맨날 싸우던 부모님, 나를 이해 못 해준 선생님들, 아무도 안 가는데 왜 나만 가야 해요.” 그렇게 세상을 향해 울부짖는데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

저는 “나는 너희 부모도, 널 왕따시켰던 애도, 선생님들도 모른다. 다만 내 앞에 있는 사람은 너고, 내가 도와줄 수 있는 사람도 너다. 같이 노력하면 분명히 좋아질 거다”라고 했죠.

이곳에 오는 아이들 대부분은 가정 환경이 안 좋아요. 그 아이들에게 세상은 ‘믿을 사람 없고, 두려운 곳’일 뿐이죠. 아마 예전 같았으면 저도 무력감, 슬픔만 느꼈을 것 같아요. 근데 지금은 이렇게 말해줘요. “그렇지 않다. 세상은 좋은 곳이다. 네가 겪은 세계만 그런 것이다. 네가 바뀌면 세상이 얼마나 따듯하고 좋은지 알게 될 거다. 같이 노력해보자.”

제가 이렇게 확신 있게 말할 수 있었던 것은 매일매일 마음수련원에 가서 마음 빼기를 한 덕분입니다. 사실 상담하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기 치유를 해야 하거든요. 아무래도 부정적인 생각들을 계속 대하며 영향을 받다 보니까, 안 그러면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힘을 줄 수가 없거든요. 그렇게 쌓인 마음들을 계속 버리고 빼고 하면서, 늘 새로운 에너지로 사람을 대할 수 있게 된 거죠.

김경미씨가 근무하는 인천법원에는 네 명의 전문조사관이 근무하고 있다. 8년 정도는 가사조사관(이혼하려는 부부 조사)을 겸하다가 2년 전부터는 소년조사관만 전담하게 되었다.

아이들을 조사할 때 제일 중요한 건 잘 들어주는 겁니다. 이렇다 저렇다 판단하지 않고, 거울처럼 비춰주는 거죠. “그래서 힘들었구나.” 이해해주는 것만으로도 환해지고 마음이 열려요. 왜냐하면 그동안 살아오면서 한 번도 이해받지 못하고, 야단만 맞았던 아이들이니까요.

근데 사실 처음에는 들어주는 게 쉽지 않았어요. 사람 만나고 이야기 들어주는 걸 좋아해서 상담을 전공했지만, 내 틀이 강하니까, 겉으로는 수긍하는 척해도 속으로는 계속 내 잣대로 저건 아닌데, 하며 시비하고 있더라고요. 내 그릇의 한계를 많이 느꼈죠.

그러다 대학원을 다닐 때였는데, 어느 날 정신과 교수님이 굉장히 환해진 얼굴로 오셔서 “마음수련이 어떤 치료보다 마음 치료하는 데 훨씬 더 빠를 것 같다”고 하시는 거예요.

그 말에 저도 마음수련을 시작했는데, 마음수련은 한마디로 자기가 살아온 삶을 돌아보고, 또 그렇게 쌓아온 마음을 빼주는 곳이더라고요.

수련하며 처음엔 정말 많이 울었어요. 나 자신만 옳다 생각하고, 상대를 내 뜻대로 하려던 자만심과 이기심…. 그런 내 자신이 너무 부끄러워서요.

그러다 마음수련 4과정 때였어요. 진짜 그동안의 나는 없어지면서 주변 모든 것과 하나 된다고 할까. 스쳐가는 바람과 하나고, 날아가는 저 새와 하나고, 주위의 모두와 하나 되는 체험을 했지요. 아, 그렇구나. 모양은 다르게 태어났지만 이렇게, 하나로 살아가는 거구나. 그때 진짜 상담을 하며 느꼈던 모든 고민들이 해결되는 것 같았습니다. 정말 감사했어요.

그 무렵 법원에서 조사관 일도 하게 됐어요. 처음에는 힘들었지만, 무엇보다 감사했던 건 잘못을 저지른 아이들을, 진심으로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었다는 거예요. 사람은 다 자기가 주체적으로 산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살아온 삶에서 형성된 관념으로 그 관념이 시키는 대로 살아가잖아요. 특히 아이들은 살아온 삶이 짧다 보니 어른들보다 훨씬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죠. 부모가 싸우고, 왕따당하고 그런 경험만 한 아이들은 그것이 전부라고 믿는 거예요. 그래서 한순간 잘못된 선택을 한 건데, 그걸 어떻게 하겠어요. 단지 이제부터 바뀔 수 있게 도와주는 거죠. 그래서 아이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은 항상 선택을 하며 살아가는데, 그동안 너는 너에게, 또 다른 사람들에게도 해가 되는 선택을 해왔다. 하지만 이제는 다른 선택을 해보자.”

아이들은 상담을 받게 하거나, 상대방 입장을 생각하게 하거나, 자기 생을 조금만 돌아보게 해줘도 변합니다. 이 일을 하면서 가장 행복할 때는, 나중에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전화해서 “아이가 법원 갔다 와서 눈빛이 확 달라졌다”는 얘기를 하실 때예요. ‘얼어붙은 땅에 봄이 오게 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자신의 모든 걸 받아주는 사람의 따듯함에는 어떤 마음도 녹기 마련이지요. 아이들은 특히 더 빠르고요.

청소년 사건의 경우, 판사며 변호사며 진심으로 아이들을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그런 분들 보면 참 고맙죠. 옛날에는 다 ‘우리 애들’이라고 했잖아요. 지나가는 애들도 자기 자식처럼 야단도 쳐주고 칭찬도 해주고요. 그렇게 지금도 ‘자기만 생각하는 마음’ 혹은 ‘내 자식만 잘되면 된다는 마음’ 다 빼고, 모두가 하나 된 마음으로 우리 아이들을 돌보는 그런 세상이 왔으면 좋겠어요. 그런 세상 위해, 저부터 더욱 부지런히 마음 빼기를 하겠습니다.

정리 최창원 & 사진 홍성훈

“어떤 아이한테는 엄하게, 어떤 아이한테는 장난치듯이, 어떤 아이는 따듯하게…. 대하는 방법이 다 달라야 하는데, 저절로 그렇게 대해질 때가 많습니다. 내 관념이나 틀 등 내 마음부터 늘 빼내다 보니 그렇게 상대를 대하는 지혜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원하는 삶 시도하기

영국의 시인 제이슨 레만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봄이 왔다. 그러나 나는 여름을 원했다.

따듯한 날들 그리고 화려한 외출.

여름이 되었다. 그러나 나는 가을을 원했다.

화려한 단풍 그리고 신선한 공기.

가을이 왔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건 겨울이었다.

아름다운 눈 그리고 성탄의 기쁨.

겨울이 왔다. 그러나 나는 봄을 원했다.

따듯함 그리고 그 자연의 꽃.

 

내가 아이였을 때 나는 어른을 원했다.

자유 그리고 존경.

내 나이 스물이었을 때 나는 서른을 원했다.

성숙 그리고 지혜로움.

내가 중년이었을 때 나는 내 나이 스물을 원했다.

젊음 그리고 자유로운 정신.

이제 은퇴했다. 그러나 내가 원한 건 중년의 나이.

마음의 평정 그리고 제한 없음.

이제 나의 삶이 끝났다.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한 번도 갖지 못했었다.

생의 끝에 다다랐을 때 우리를 가장 고뇌하게 하는 것은,

노력했으나 이루지 못한 것이 아니라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은 것에 대한 회한이라고 합니다.

누군가와의 화해, 누군가에 대한 용서,

꼭 해주고 싶었던 사랑한다는 그 말 그리고 베풂….

불현듯 올 한 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도해보지 못한 그것, 오늘 지금 당장은 어떠신지요.

인간 완성을 이루는 빼기의 시대가 열렸다

사람은 세상 나면서부터 무엇을 가지려는 마음이 있어

가져서 행복을 찾고 가져서 만족하려고 하나

그것은 끝이 없고 또 만족도 행복도 없다.

모든 가짐은 자기의 열등의식에서 발로된 것이고

그것을 못 가지고 못 이루었을 때 그것이 원과 한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없애야만이 진정한 원한이 없어질 것이다.

이때까지는 세상 살면서

자기가 자기 것으로 가지려는 마음 따라 가지고 살려고 했으나

그 가짐에 사람들은 지금에 사는 모양이다.

세상이 불안하고 인간의 신뢰가 떨어지고

사람이 그 열등의식을 좇아 헤매니, 가짐보다 안 가짐을 배움이

지금 시대에 사람이 완성이 되고 더 잘 살 수가 있는 이치이다.

마음으로만 돈을 버려야겠다고 생각함이 아니고

행하기 때문에 더 잘 살 수가 있다.

많은 가짐의 마음에 수많은 번뇌가 있고

번뇌 따라 사는 삶은 행이 없고 생각에 생각만을 낳을 뿐이다.

지금의 시대는 마음에 더하기의 시대였으나

마음 빼기의 시대가 열렸다.

이 빼기의 시대에 마음의 빼기를 한 자는

본성을 되찾아 인류는 하나가 될 것이고

세상과 남을 위해 살아 세상이 완성이 될 것이다.

인간 완성은 자기 마음을 다 빼면

신인 세상의 마음이 되어 지혜가 있어 잘 살 수가 있고

그 마음인 영혼이 또 영원히 살 수가 있을 것이다.

완성이란 인간마음을,

자기가 먹은 마음을 다 빼기하는 것이다.

우 명(禹明) 선생은 마음수련 창시자로서, 인간 내면의 성찰과 본성 회복, 화해와 평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2년 UN-NGO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교육자협회로부터 ‘마하트마 간디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저서로 <이 세상 살지 말고 영원한 행복의 나라 가서 살자> <진짜가 되는 곳이 진짜다> <살아서 하늘사람 되는 방법> <하늘이 낸 세상 구원의 공식> <영원히 살아 있는 세상> <세상 너머의 세상> 외 영역본 등 다수가 있습니다.

남자 셋이 술 먹으면서 무슨 얘기해?

백일성

퇴근하는 길 동네 후배에게서 술 한잔하자는 연락을 받고 약속을 정했습니다. 그리고 조금 늦게 동네 선배에게도 퇴근하는 대로 전화 달라고 문자를 보냈습니다. 아내와도 통화하고 저녁 8시 정도에 후배와 마주 앉아 소주 한 잔을 입에 넣었습니다. 정확한 시간은 모르겠고 12시 정도쯤 집에 도착한 거 같습니다. 아내가 자리에 금방 누웠는지 인기척에 바로 일어나 눈살을 찌푸리면서 묻습니다. “동네에서 간단하게 먹고 들어온다며? 몇 시야? 도대체 남자 셋이 무슨 얘기가 그렇게 재밌어서 이 시간까지 술을 먹어? 무슨 얘기해?” 여자 셋이 모이면 무슨 얘기하는지 모르겠지만, 30대 초반, 40대 초반, 40대 중반 이런 동네 선후배 남자 셋이 모이면 이런 얘기합니다.

소주 한 병. “요즘 직장 어때요?” “뭐 그렇지~ 넌?” “저도 죽을 맛이죠 뭐.” “술맛 떨어진다! 직장 얘기 그만~” “안주 나오기 전에 한 잔 하시죠.”

소주 두 병. 선배 형님이 늦게 도착했습니다. “늦었네요. 요즘 회사 바빠요?” 선배 형이 소주 한 잔을 비우며 말합니다. “야 술맛 떨어진다 말도 꺼내지 마라.” “안주 드세요.”

소주 세 병. “저 양반 나오면 될까?” “단일화가 문제지.” “누가 되던 그놈이 그놈이지.” “야, 술맛 떨어진다! 정치 얘기 그만~” “안주 하나 더 시키죠.”

소주 네 병. “요즘 씨스타가 대세죠?” “이 형이 카라, 미스터 이후 첨으로 인기가요를 보잖냐. 걔들 때문에.” “저도요, ㅎ” “형님들 뮤직비디오 전송해 드릴까요?” “야, 술맛 난다.” “아줌마 안주 시킨 지가 언젠데~”

소주 다섯 병. 여기서부터는 가물가물 언뜻 생각나는 단어들만 나열합니다. [박지성… .Q뭐?… QPM… 그건 투피엠이고 QPR.… 아… 박주영… 고등학교 때 패싸움이… 첫사랑… 너 몇 사단?… 훈련병 때… 와… 뭐… 야… 거… 내가 진짜… 우아…]

소주 여섯 병. “형이 로또만 되면 말이다….”

붉어진 얼굴로 술집을 나와 걸어가는데 길거리 한복판에 인형 좌판이 벌어졌습니다. 당나귀 인형 대여섯 마리가 요란한 소리를 내며 길거리를 누비고 있습니다. 선배가 후배 녀석에게 아이 갖다 주라며 한 마리 골라 보라고 합니다. 길거리 좌판 앞에 술 취한 아저씨 셋이 앉았습니다. 30대 초반의 갓 돌 지난 아이의 아빠는 요즘 전셋값 때문에 걱정입니다. 한없이 올라간 전셋값에 가을에 이사를 결정했나 봅니다. 한마디 합니다. “아저씨 당나귀 말고 기린으로 주세요.” 40대 초반의 중학생 남매를 키우고 있는 아저씨는 서랍에 사표가 넣어져 있습니다. 10년 다닌 회사를 그만두려고 합니다. 하지만 일년째 서랍 안에 있습니다. 한마디 합니다. “야, 당나귀가 더 이뻐~~” 40대 중반의 고3 딸 아빠는 얼마 전 아버님이 폐암 수술을 받으셨습니다. 오늘도 그의 지갑에는 로또가 있습니다. 한마디 합니다. “아저씨~ 건전지 서비스로 한 개만 더 줘요.”

아내가 재차 묻습니다. “남자 셋이 뭔 얘기를 하냐니까?” 이불 안에서 웅얼거리듯 대답했습니다. “씨….” “뭐?”  아내가 재차 묻습니다. “씨… 스… 타.” 이불 밖으로 내밀렸습니다. 이런~~~

 

올해 마흔두 살의 백일성님은 동갑내기 아내와 중학생 남매 그리고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는 평범한 가장입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 이야기 방에 ‘나야나’라는 필명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남기고 있으며, 수필집 <나야나 가족 만만세>를 출간한 바 있습니다.

To Know The World Is One

There is one world, but it is seen in millions of different ways because there are millions of different human minds. Born as the child, the offspring, of incomplete people, man takes pictures of things in the complete world through his eyes, nose, ears, mouth and body, and stores them inside his mind. This mind world, which overlaps the real world, is man-made and a duplicate. Inside this illusionary world, man lives making ever more illusions. The Bible tells us,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which means heaven that is the true world will become one’s own when he discards his false mind completely. The phrase “cleanse or empty one’s mind” means one should discard and destroy this false mind, which has turned its back on the origin and is an enemy of the world. Because this mind is egotistical, narrow-minded and self-centered, it has discriminations, judgments of right and wrong, likes and dislikes, life and death, enemies and lovers, and distinctions between what does and does not belong to it.

 

Because pictures, the false mind, live as the master, man is born as the child of falseness, lives in a world of falseness and then passes on to a non-existing false world. It is the reason he ends up dying. For man to become complete he must discard the false world; he must discard the Earth, moon, stars and sun of this world; and he must discard even the materials in the air. What then remains is the place of the Creator, God and Buddha. This place is the origin, and from this viewpoint it is always this place, the original found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creations of the world exist. From man’s perspective however, the world is a place with countless different things because his mind is not one with the world. When the world is seen from the place of the origin and source, it is one. It is one when nothing in the world exists, and even when they do exist, it is still one. Only a person who has returned to the origin and become the true mind can know this.

 

 

Woo Myung founded Maum Meditation. For his outstanding dedication to the service of humanity, he was awarded the Mahatma Gandhi Peace Award by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ducators for World Peace (IAEWP). He is the author of numerous books including World Beyond World, The Way To Become A Person In Heaven While Living, Nature’s Flow, Mind and Stop Living In This Land, Go To The Everlasting World Of Happiness, Live There Forever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English. His other books, Heaven’s Formula For Saving The World, The Living Eternal World, The Book Of Wisdom, and The Enlightened World are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English as well as Chinese, French, German, Italian, Japanese, Portuguese, Spanish and Swedish.

Dentist Yoon Jin Young

The dream of Yoon Jin Young was to live the “free life”. She believed that if she became a career woman, like she saw portrayed in the media, she would become free. So she studied to be a dentist and gained people’s respect for being involved in academic activities and volunteer work. Somewhere along the way her mind, weighed down by the burdens of work and life, became unendurable, like a heavy weight on her shoulders.

As she threw away her mind she came to realize that the real freedom comes when that “self” that was in pursuit of success, happiness and enjoyment is no longer present. Now, after doing Maum Meditation, she greets her patient everyday with happiness and enjoyment, just as she used to do when she opened her office ten years ago. This is her story of throwing away the mind.

I am an orthodontist, and it has been ten years since I opened my clinic. Scattered around the clinic there are paintings and dolls that are presents from my patients. It usually takes two to three years to complete an orthodontic program, so the patients become like family. Over time though, I grew to feel like I was literally suffocating in the office, and I always wanted to escape from there. Now, this place feels so precious to me and I am truly grateful to be here.

Growing up I was the eldest of three daughters. My father ran his own business, but due to the uncertainty in it we were constantly caught up in insecurity. It was worse for me because as the eldest daughter I felt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 family, yet I didn’t like this “self” that had to face reality. I often couldn’t go to school because I was weak, so from a young age I had felt that life was truly futile. Living was not fun for me because I had the thought that I couldn’t accomplish anything at all. All the other people seemed to live happily; why not me? How could I manage to live this life? I was always concerned about this. Actually, I went into dentistry to escape this futility, and I wanted to live more realistically. I thought it would be fun to have the life of a career woman like those I saw on television.

But it turned out that dentistry was not what I was interested in. Most of all, the classes were rather tough due to all the competition between students. Besides that, what the future held for me was far away from what I had dreamed of. What I longed for was to enjoy the whole wide world, which I couldn’t do with this job. I literally felt suffocated because I had to stay inside that tiny little clinic all day long.

In my fourth year, just before graduation, my instructor suggested I study orthodontics at the orthodontic research institute. Somehow I sensed that this was what I was looking for. I had a complex about smiling brightly during my childhood because my teeth were irregular. Since I had once been a patient who benefited from braces, I felt that I could do many things for my patients. Moreover, there were lots of opportunities to go overseas for further study in, for example, academic exchange seminars; and I also had the opportunity to be a volunteer in programs that shared those techniques with dentists in China and Central Asia. Because I was actually thirsty for knowledge I went everywhere there was a chance to learn more.

Finally, at the age of 29, I opened my dental clinic in 2002. During the treatments to straighten their teeth, pessimistic patients would become brighter; and some became happier after getting successful jobs. It really was a worthwhile job for me. Over the next couple of years more and more patients came to my clinic; plus, I continued my overseas activities. Although my reputation grew bigger and bigger, I felt like there was a heavy load bearing down on my shoulders. It just felt as if there were heavy metal chains wrapped around me; and my mind was always burdened, uncomfortable and I always felt as if there was something chasing me.

I didn’t regard it as a big deal at first because there were many responsibilities thrust on me in running the clinic. But about the time I was becoming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exhausted Maum Meditation came into my life. By chance I met a lady at a self development seminar who told me about Maum Meditation. I wanted to take a break from the utter exhaustion I was going through, so I visited the local center in my town.

While meditating I came to see myself. I saw that I had thought that if I were not busy 24 hours a day I would fall behind or have troubling difficulties. Also, I had been obsessed with learning more. In order to involve myself in as many overseas activities as possible I needed to be healthy and good at languages. But because I was congenitally weak to begin with I strained my body and was ruining it. I had been pushing myself too hard, so while meditating my body felt painful all over.

As I continued to meditate those harsh memories grew dim and my body started to feel comfortable. I started meditating even harder because I could feel that this was something I had to do; that this was the only way I could find the answers to life. At some point I became so comfortable and was surprised to feel those heavy chains loosen, unwind and drop off me.

I really wanted to live with freedom. But now,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verse, I could see the life I had been living; struggling to live while trapped inside the narrow consciousness that was “myself”. I had thought I must be happy, I must be free, I must earn a lot of money, I must have a great reputation… It was this “self” that had actually fettered my freedom. While throwing away the mind I came to know that I am the world, and the world itself is freedom when the self does not exist. Before I thought that freedom meant to buy what I wanted to buy and go where I wanted to go; but real freedom existed when I did not exist.

From then on freedom and happiness surged up from deep within my mind, even though I had been treating patients all day long at the clinic. This feeling grew even stronger the more I threw away the mind of the “myself” that I had thought was me, minds like pride, fame, greed, and so on. It was just like a true miracle!

In short, if, as suggested in Maum Meditation, you live with the “universe mind” by throwing away the “self” which lived with the human mind, you will naturally, with the world’s mind, accept and embrace others, no matter who you are with or what conditions occur in your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