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Kyoung-a(33), a family medicine specialist at Ulsan Je-il Hospital, possesses a pleasant and bright laugh like a spring flower. She is known as a kind doctor who embraces minds, always listening from her patients’ points of view. A born-doctor, Kyoung-a, who says she is the most happiest when her patients feel better, started Maum Meditation while attending her medical school and through it, she confirmed her true path. She is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This is her story of a mind-subtraction that is as gorgeous as a spring flower.
“At a such month, at a such day, at a such time, I pronounce someone without pulse and heartbeats as dead.” I feel the emptiness of life when on a sleepless night, someone still dies after all the medical interventions I could possibly do was done. So I had thought many times about wanting to be at least a bit helpful person in this world while I still had a life, like this moment.
In family medicine, many patients with internal medicine issues come. I try to listen well to think of treatments for them and also endeavor to embrace their minds.
“What do I do if the illness doesn’t go away?” “What about my social life?” these fears and anxiety…. I explain thoroughly to ease their minds. Just by telling them the illness could be cured by this and that, their facial expressions are better and the treatments are easier then.
“Depending on how one makes up his mind, the symptoms are also different.”
After I started meditation and found out about the power of mind, I strive to address their minds first. I saw many illnesses being cured just by emptying the minds through the meditation; from mental disorders such as anxiety, depression, insomnia, panic disorder to physical disorders such as diabetes, heart disease, arthritis, breast cancer, leukemia, stomach cancer, etc.
In the Oriental medicine, they view diseases from holistic perspective, ‘A human is a small Universe, body and mind is one’; for the Western medicine, we are used to diagnostic thinking, such as ‘A disease is being caused by a virus, so the virus should be eliminated.’ It was difficult at first trying to explain the mechanism of curing diseases through emptying of the minds.
But it’s a definite fact that stress and anger could change the body’s hormone or blood pressure to cause illness and through emptying of the mind, the illness could be alleviated.
Now, doctors and researchers who have done Maum Meditation are currently researching to scientifically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illness and mind. As a family medicine specialist, I feel that I am truly fortunate and thankful that I am able to view illness from the mind perspective, not just symptoms of the body.
I started Maum Meditation during my medical school years. You could say that being a medical student is an accomplishment of a dream, but at first I wasn’t sure. Military-type of relationships, busy study schedules, strained atmospheres, and attitudes of pursuit for money and prestige……
Is this really the life I wanted? Do I have to be a doctor to be happy? Wasn’t I here because of the expectations of my parents and social connections?
In midst of my fierce wandering, I started Maum Meditation. It felt like I could find answers of my life. As I meditated, I was shocked to find out that I had built and was imprisoned in my own mind world instead of living in the true world.
I wanted to escape as soon as possible. So one by one, I ardently threw away. Then, at one moment, I was enlightened; ‘I now have escaped my mind world, the world was originally one, this is the true world.’
Then the wandering stopped. During my middle school years, I chose the profession of a doctor because, ‘I wanted to be a person to help.’ I walked that path, and this dream was to be achieved. Even though I thought, ‘Do I have to be a doctor to be happy?’ I was speechlessly happy when I was able to save emergency patients through the medical knowledge I had. Instead of thanking for the happiness, I had false delusions of the mind world that caused moments of anguish upon anguish and wandering upon wandering. Now it is about living in a present instead of a past, and living the life that I truly wanted, instead of living other people’s idea of ‘good life.’
Once my thinking itself changed, I was thankful to go to the hospital to see patients waiting for me every morning. My dream of a kind of doctor I wanted to be, was to be the primary doctor for only one person at a time, to easily consult about their family and illness history or any problems they may have. But I had thought it might be difficult in reality, but I have a faith that Maum Meditation could make this possible.
As a member of Maum Meditation Medical Association, I participate as a medical volunteer regularly. Before, I had thought I could help others only if I had a lot of money or power, but it wasn’t true. If one has an intention to share, then one could share even the smallest thing.
The member from Maum Meditation Medical Association said, “It is only right to volunteer without asking for something in return, for someone who was enlightened to oneness with the world.”
Thusly, I always would like to continue to walk the path of a true doctor without the mind of attachment.
Love, Compassion And Virtue
The words "I love you" are commonly used between lovers, married couples, parents and children.
However human love is the fulfillment of one’s demands. In other words, human love is full of expectations; man cannot love unconditionally. Pure love is giving without the mind of having given. This is true love, compassion, and virtue.
Man and all of creation are able to exist because the origin, the empty sky, exists. Although the empty sky creates everything and provides man with food, air, and the means to live, it does not expect anything in return. Such is the mind of the origin. True compassion, love, and virtue do not exist unless man’s mind becomes that of the origin.
The mind that is without the thought that you have done something for someone; the mind that is absent of the thought that one has done anything at all; the mind where the left hand does not know what the right hand is doing – this mind is only possible when your mind becomes that of God. When you chase out your evil, false, self-centered mind and change it to the mind of God, you can live for the world and others.
The human mind that is self-centered does not have love, compassion, or virtue; there is only the mind that cares for himself. While it is often said that we must love our enemies with compassion and virtue, we are unable to do so because enemies exist within the deeply rooted minds we have.
Maum Meditation is the practice of changing one’s human mind into the mind of God and becoming reborn as the child of God. Maum Meditation is a place where one can actually become a saint, Buddha, the son of God; the entities about which we have only heard. It is a place where one can achieve human completion.
열린 고민 상담소
사회복지사 일을 시작한 지 6개월째, 요즘 직장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기관 대상자분들(치매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 상대하기, 회계 업무에다 상담까지. 6개월이 지나니 몸 마음이 많이 지쳤습니다. 음악 듣기나 영화 보는 걸로 스트레스를 풀어 보려고는 하는데 도통 의욕이 나질 않습니다. 운동을 해도 나아지지 않는 이 무기력증, 어쩌지요?ㅠㅠ
6개월째 사회복지사 일을 하고 있다는 말에 지나치지 못하고 글을 쓰게 되네요. 저도 결혼 전에 사회복지사로 일했었답니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이 사람들을 많이 상대해야 하고, 특히 어려운 상황에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해결해주려 노력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지치기 쉽거든요. 저 같은 경우에도 너무 지쳐서 주말엔 아무것도 안 하고 누워만 있곤 했어요. 그런데 그러다 보니 더욱더 지치고 무력하게 되어서 선택한 게 선배 사회복지사들의 조언을 듣는 거였습니다.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속 얘기도 하고 조언도 듣고 때로는 날 힘들게 하는 클라이언트들 흉도 보고.ㅋㅋ 사회복지사도 사람이니깐요.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사람으로 치유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러니 지금의 무기력증이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한 거라면 일은 잠시 잊고 선배나 동료 사회복지사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털어낼 수 있는 시간을 가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힘내세요!!!
저 같은 경우는 힘든 마음을 다스리고자 명상도 하고, 등산 같은 것도 하면서 저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바쁘게 달리다가, 문득 내가 왜 이렇게 살고 있지? 회의가 들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질 때 있잖아요. 일단은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운동은 계속하셨으면 좋겠어요. 건강해야 삶의 에너지가 생기니까요. 그리고 처음 사회복지사를 선택하셨을 때의 마음, 그 초심을 떠올리며 다시 한 번 기운 내셨으면 좋겠네요.
많은 직장인들이 공감하는 문제일 거 같아요. 바쁘게 달리다가, 문득 내가 왜 이렇게 살고 있지? 회의가 들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질 때 있잖아요. 일단은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운동은 계속하셨으면 좋겠어요. 건강해야 삶의 에너지가 생기니까요. 그리고 처음 사회복지사를 선택하셨을 때의 마음, 그 초심을 떠올리며 다시 한 번 기운 내셨으면 좋겠네요.
저희 복지관 선생님들도 이런 고민을 다 가지고 있어요. 저 또한 5개월간을 한 공간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장애인 주간 보호 업무를 하면서 너무 지쳐버린 경험이 있고요. 담당자가 저밖에 없어서, 심지어 화장실 갈 때도 문을 열어놓고 볼일을 봐야 하는 상황이었어요. 그렇게 반복적으로 시간을 보내다 보니 너무 힘들고 일에 대한 회의도 많이 들더라고요. 성격상 원래 힘들다는 이야기를 잘 안 하는데, 도저히 이대로는 안 될 거 같아서 윗분들에게 얘기를 했어요. 힘들다고 하면, 내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기지는 않을까? 걱정도 됐지만 그 순간만큼은 솔직해지기로 했어요. 그랬더니 그렇게 힘든지 몰랐다며, 한두 시간이라도 다른 선생님을 보내주시는 등 배려를 해주시더라고요. 혼자 속앓이하기보다 솔직하게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그런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윗분들과의 관계도 돈독해지더라고요. 지금은 이 일에 보람을 느끼면서 즐겁게 지내고 있답니다.
저는 장사를 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상대해야 했어요. 모든 게 지치고 힘들어서 저에게도 한동안 무기력증이 왔었죠. 심할 때는 며칠 동안 방에 틀어박혀 있은 적도 있어요. 도저히 이렇게는 안 되겠다 싶어 주변 환경을 바꿔보기로 했어요. 우선 청소를 했어요. 표창장, 안 입는 옷들, 제 방에 쌓아놨던 무거운 물건들을 다 버렸어요. 그러고 나니까 너무너무 시원해지더라고요. 그리고 일할 때의 마음도 즐겁게 고쳐먹기 시작했어요. 가만 보니 지나치게 잘하려는 책임감 때문에, 일 자체를 즐기지 못하고 확 지쳐버렸던 거더라고요. 그래서 열심히 하되, 할 수 있는 만큼만 하고, 못하는 부분은 쿨하게 인정하기로 했어요. 그러니 마음도 편안해지더군요. 내 삶을 만드는 것은 바로 나라는 것을 아시고, 무기력증을 만드는 마음의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시며 즐겁게 삶을 만들어가셨으면 좋겠네요.
고3이 되는 학생입니다. 저는 모범생도 아니고, 놀러 다니는 학생도 아닌 그 중간에 있는 흔한 인문계 학생인데요, 고3이 되니 가족도 친척도 괜히 부담이 되고 명절이나 행사에 참석하기도 꺼려지고 공부하라는 엄마의 말씀에도 짜증만 나고 학교에서 하는 자습도 답답해집니다. 대체 무슨 문제가 생긴 걸까요? 고3 시기를 경험하신 인생 선배 분들이 조언해주시면 답답함도 덜고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을 거 같애요.
얼마 전 결혼한 후배 화니에게
글 백일성
조금 전에 새색시와 포장마차에서 대합탕에 소주 한잔 한다며 전화했었지. 그렇게 한참 깨 볶을 신혼인 너한테 결혼 17년 차 인생 선배가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이야기 하나 해줄게…. 그냥 며칠 전 있었던 내 하룻밤 사이의 평범한 일상이야. 언뜻 들으면 뭐가 슬퍼? 하겠지만, 너도 세월이 흐르고 잘 곱씹어 보면 너무 슬픈 이야기니까 들어둬.
우리 부부 며칠 전에 한바탕했어. 큰 싸움은 아니고 그냥 17년 차 부부들이 하는 그런 부부 싸움. 다음 날 아침이면 잊히는 싸움이 있고 며칠이 지나도록 쌓이는 싸움이 있는데 이번 부부 싸움은 난 대수롭지 않게 넘어갔는데 아내에게는 조금 심각하게 다가왔나 봐. 그래서 아내가 한 3일 꽁하니 입을 닫고 있었어. 슬픔의 시작이지.
그러다 금요일 밤에 멍하니 혼자 TV를 보고 있다가 더는 안 되겠다 싶어 방문을 빼꼼 열고 누워 있는 아내에게 말을 걸었어. “형우 엄마~~ 어디 바람 쐬러 갈까?” 이 말에 아내가 반응을 보이며 부스스 일어나더라고. “뭐 어디 갈 데는 있어?” 3일 만에 아내가 입을 열었어. 참 슬픈 일이지.
이렇게 먼저 다가와 줄 남편을 기다리고 있었을 아내의 마음을 알기에 내가 평소보다 조금 오버를 하고 말았어. “강릉 가서 물회나 한 그릇씩 먹고 올까?” 우리 집 안양인 거 알지? 그리고 시간이 새벽 한 시였거든. 난 당연히 아내가 거기까지 언제 가냐고 가까운 연안 부두나 서해안으로 가자고 할 줄 알았어. 근데, “그럴까? 오랜만에 동해 바람 좀 쐬고. 진짜 물회 먹고 싶다.” 일이 커진 거지 참, 슬픈 일이야.
주차장에서 강릉 주문진항을 찍었더니 소요 시간이 3시간 가까이 나오더구나. 아내는 토요일 쉬지만 난 출근하거든. 참 슬픈 일이지.
그리고 출발한 지 15분 만에 아내는 잠들었어. 난 나머지 2시간 훨씬 넘게 내비 아가씨랑 이야기 나눴어. 오랜 시간 말을 나눴더니 강릉 도착해서는 내비 아가씨한테 말 놓으라고 하고 싶더라고. 참 슬픈 일이지.
주문진항에서 딱 한 군데 그 시간에 문 연 횟집을 찾아서 아내가 좋아하는 물회 한 그릇씩을 하고 서둘러서 올라왔어. 나 출근해야 되니까. 우리 나이에 새벽에 갑작스러운 동해 바다 보러 가기가 생각보다 로맨틱하지는 않더구나. 이런 것도 너무 슬픈 일이야.
그런데 집으로 올라오는 길에 세상에서 가장 슬픈 얘기를 들었어. 조금 열린 차창으로 들어오는 바다 냄새를 맡으며 아내가 얘기하더라. “자기야, 우리 이런 바닷가에서 살까? 자기는………… 배 타고.” 나더러 배 타래. 나이 마흔셋에 배를 타래. 나 결혼 생활 17년 동안 직장은 두어 차례 옮겼고 그냥 박봉에 월급쟁이지만 그래도 일주일 이상 놀아본 적 없어. 근데… 결국 배를 타라네…… 참 슬픈 일이지.
화니야~ 너도 지금 제수씨와 포장마차에서 꼼장어와 대합탕에 소주 한잔 하고 있지만, 언젠가 너도 꼼장어랑 대합 직접 잡아 오라며 배 타라고 할지 몰라.
새신랑 화니야~ 가끔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싶으면 슬픈 영화나 책이나 인간극장 같은 거 보지 말고, 주위에 결혼 생활 10년 넘게 한 직장 상사 한 분 잡고 소주 한잔 하자 그래 봐. 그리고 한마디 물어봐. “행복하시죠?” 그럼 세상에서 가장 슬픈 얘기 들을 수 있을 거야.
마지막으로 화니야~~ 신혼인 너한테 이런 슬픈 얘기해서 미안하니까 선배가 한 가지 알려줄게. 너도 몇 년 후에 나같이 이런 사소한 일에도 슬픔을 느낄 때가 있을 거야. 그럴 때… 아내의 눈을 찬찬히 한번 봐! 아내도 참 슬픈 눈을 가지고 있단다. 자신이 슬픔을 느낄 때 배우자는 더 큰 슬픔을 품고 산다는 거 잊지 말고, 먼 훗날 결혼 생활에 슬픔이 다가올 때 거울 안의 너를 보지 말고 아내의 젖은 눈동자에 비춰진 너를 보렴.
참! 그리고 형 며칠 연락 안 되면…… 배 타러 간 줄 알아라~.
문화로놀이짱, 헌 가구를 새 가구로 재탄생시키는 사회적기업
3개월이 멀다 하고 개업과 폐업, 리모델링을 하느라 엄청난 양의 가구와 폐목재들이 버려지고 있는 홍대 앞 거리. 이렇게 버려진 재료들을 이용해 새로운 가구를 만들어내는 곳이 있다. 바로 사회적기업 ‘문화로(路)놀이짱(場)’이다.
서울 월드컵경기장 근처 허허벌판에 자리한 문화로놀이짱 공방은 폐목재와 가구들로 꽉 차 있다. 마포구, 양천구 등지에서 수거된 목재들은 이곳에서 잠시 해체돼 있다가 놀이짱 멤버들의 상상력을 통해 재활용 가구로 재탄생한다. 나의 생활 공간의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가구. 그래서 재활용 가구라고 했을 때 선뜻 사기가 망설여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화로놀이짱의 가구를 주문해본 사람들의 반응은 대개 비슷하다. 뭐든 다 받아주는 ‘할머니 품’처럼 따듯한 느낌의 가구라는 것! 이것이 바로 놀이짱 가구만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다.
초창기에는 개인 가구 위주로 주문이 들어오다가 근래에는 서울시청, 지역아동센터, 마포아트센터 등 공공기관의 공간 전체를 디자인하는 작업이 늘었다고 한다. 2011년부터는 ‘명랑에너지발전소’라는 이름의 마을공방도 운영하고 있다. 이곳은 누구나 공구를 빌려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꾸며놓았으며, 더 많은 사람들이 재활용 목공 워크숍을 통해 즐거운 일상을 가꿔나갈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강의도 진행하고 있다.
Do It Ourselves!
손이 기쁜 재활용 목공 워크숍 초보자 환영! 소정의 참가비를 내고 스탠드, 티테이블 등 작은 생활 가구를 ‘우리 손으로’ 직접 만들어보는 워크숍이 수시로 열리고 있다. 자세한 일정은 문화로놀이짱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해결사들의 수리병원
2010년 어딘가 부서졌지만 버리긴 아까운 추억의 가구들을 고쳐주는 수리병원을 만들었고, 2012년에는 가구는 물론 자전거, 칼, 시계, 구두 등 집안의 작은 물건들까지 보살피는 종합병원(^^)도 열었다. 올해 여름과 가을에도 종합병원은 계속될 예정이니 집안의 아픈 가구들을 데리고 나가보자. 자세한 일정은 홈페이지 참조.
문화로놀이짱 안연정 대표 이야기 2004년 홍대 근처에서 문화 예술 기획을 하면서 예술가들과 청소년들이 함께 작업할 수 있는 공공 작업장을 만들었어요. 그래서 이름도 길 ‘로(路)’ 자와 마당 ‘장(場)’ 자를 써서 문화로(路)놀이짱(場)으로 지었습니다. 그곳에서 처음 가구라는 걸 만들었는데 그것이 저에겐 아주 소중한 경험이었어요. 무언가에 몰입하는 기쁨, 성취감도 있었고, 만드는 과정에서 가구가 움직이고 서는 이치를 깨달아가는 재미도 있었죠.
목공 작업을 하며 흠집 나고 버려진 가구들이 인간의 생애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그래서 나무에 더 애정이 가더라고요. 나무를 다듬고 만지다 보면 꼭 땅에 뿌리를 박고 있지 않아도 수축하고 팽창하면서 움직이는 게 보여요. 그걸 보면서 주변의 사물 모든 것에 다 생명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먹을거리들과 개인의 삶에 대한 생각이 전반적으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런 감성을 공유하고 싶어 마을 공동 작업장 ‘명랑에너지발전소’를 만들었습니다. 도시 사람들이 ‘손을 쓰는’ 기쁨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일종의 놀이터라고 할 수 있어요. 무언가에 온 마음과 시간을 쏟으면서 생활에 필요한 중간 기술을 터득해나가는 재미를 느끼셨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팍팍한 일상에서도 조금 천천히 갈 수 있는 낭만, 무슨 일이든 정성을 쏟고 싶은 명랑한 에너지가 생겨나지 않을까요.
시아버지께 배우는 느림의 미학
늘 신경이 쓰이던 돌무더기가 있었다. 보고 다니면서 눈에 영 거슬렸다. ‘이걸 어떻게 정리 좀 했으면 좋겠는데’ 하는 마음은 있었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엄두가 나질 않았다. 당연히 포크레인 같은 기계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돈을 들여가며 포크레인을 부르기엔 그리 아쉬운 게 아니어서 그냥 두고 보기만 했다. 목에 걸린 가시처럼 답답해하면서…. 그런데 시아버지께서 그곳을 예쁜 텃밭으로 바꿔놓으셨다.
시아버지는 참 느린 분이다. 그 느림 때문에 종종 식구들의 눈총을 받기도 하신다. 하지만 어느 식구보다도 일을 잘하신다. 아니 특별히 일을 잘하신다기보단 다른 식구들이 모두 “안 돼~ 그건 할 수 없어~” 할 때 “왜 안 돼? 이거 할 수 있어!” 하시며 아주 천천히 묵묵히 그 일을 하신다. 처음엔 전혀 할 수 없다고 생각되던 것들이 ‘어, 변하고 있네. 할 수 있는 거였나?’ 했다가 결국엔 ‘아버지가 이렇게 바꿔놨네!’ 하며 감탄하곤 했다. 그런 일이 늘어나면서 ‘아버지는 일을 참 잘하시는 분이야!’ 하는 명제가 생겨났지 싶다.
밭에 있던 돌무더기도 그렇다. 나는 평소에도 남편에게 그 돌무더기를 치웠으면 한다는 말을 내비쳤고 남편은 어떻게 그것 때문에 포크레인을 부르느냐고 했었다. 한마디로 우리가 직접 그걸 치울 엄두는 아예 내지 못한 것이다.
한데, 시아버지는 그냥 아무 말씀도 없이 장갑을 끼더니 돌들을 하나하나 치우기 시작하셨다. 아무런 말씀도 없이, 아무런 표도 나지 않게. 그냥 돌멩이 하나 치우시는 줄 알았지, 그 커다란 돌무더기를 다 치우시리라곤 생각도 못 했다. 만약 우리가 그런 아버지의 생각을 미리 알았더라면 안 되는 일이라고 분명히 말렸을 터이다.
그런데 한참 시간이 흐른 후 가본 우리는 입을 쩍 벌릴 수밖에 없었다. 쓰레기와 나무들, 돌들이 따로따로, 또 차곡차곡 쌓여 있었고 치워진 부분에는 보들보들한 땅이 드러나 있었다. 시아버지는 땅이 참 기름져서 여기다 모종을 심으면 좋겠다 하셨다. 그렇게 며칠 동안을 온종일 거기에 매달려 계시더니 처음의 그 돌무더기는 싹 사라지고 없어진 것이다.
아이들을 비롯하여 남편과 나는 감탄에 감탄, 또 감탄!
이번에 돌무더기를 치우고 텃밭 하나를 만드시는 과정에서도 알 수 있었지만 시아버지가 일을 잘하시는 비결은 느림이었다. 힘든 일을 헉헉거리며 용을 쓰며 하면 쉽게 지친다. 지치면 포기하기도 쉽다. 하지만 아버지는 체력을 한순간에 몰아 쓰지 않고 오래 쓸 것을 염두에 두고 조금씩 조금씩 나누어 쓰시는 것 같다. 아주 천천히 즐기시는 듯….
일을 하기에 앞서 나는 성급하게도 성과를 미리 그려본다. ‘언제쯤’ 일을 마칠 수 있을지 생각하고 그 ‘언제’가 쉽게 그려지지 않을 때는 덜컥 겁을 내며 ‘못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시아버지는 ‘언제’에 전혀 개의치 않으셨다.
‘하다 보면 다 되는 것이여~’ 하면서.
즉 내가 집중하는 것이 ‘언제’였다면, 아버지가 집중하는 것은 ‘하다 보면’이었다. ‘언제’에 집중한 내가 빨리 해내야 한다는 두려움에 떨어 결국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면, ‘하다 보면’에 집중한 아버지는 느리지만 결국 다 해내신다. 결국 과정에 집중한 사람이, 묵묵히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 성과도 만들어내는구나 싶다.
며칠 동안 아버지가 일하시는 모습을 지켜봤다. 움직임이 있는 듯 없는 듯, 그 자리에 계신 듯 안 계신 듯,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그 모습에서 나는 장 지오노의 작품 <나무를 심은 사람>의 주인공 부피에를, 마오우쑤 사막에 숲을 만든 인위쩐을 본다. 시아버지 같은 분이 바로 부피에가 될 수 있고, 인위쩐이 될 수 있지 않겠나…. 아버지를 닮고 싶다.
현미밥으로 만든 달걀완자전
5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는 달걀로 아이의 키를 쑥쑥 크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바로 현미밥과 함께 먹는 것이죠. 간단한 메뉴로도 튼튼한 아이로 키울 수 있습니다.
재료(2인분) 달걀(2개), 당근(1/6개), 애호박(1/6개), 호두(5알), 현미(1공기), 양념 소금(약간)
1 달걀은 소금(약간)을 넣어 푼 뒤 체에 내려 알끈을 제거합니다.
2 당근과 애호박은 잘게 다지고, 호두는 미지근한 물에 헹궈 물기를 닦아 굵게 다집니다.
3 체에 내린 달걀에 현미밥, 당근, 애호박, 호두를 넣어 잘 섞어줍니다.
4 달군 팬에 식용유(1큰술)를 두르고 달걀밥을 한 숟가락씩 동그란 모양으로 올려
앞뒤로 노릇하게 부쳐 마무리합니다.
장애인용 레저 자전거 휠사이클
● 이름은?
휠사이클(Wheel+Cycle). 휠체어Wheelchair와 자전거Bicycle의 합성어로 휠체어 형태의 장애인용 레저 자전거다.
● 어떻게 이런 생각을?
친구들과 서울국제발명전시회(SIIF 2013)의 출전을 꿈꾸며 졸업 작품을 준비하던 중 장애인의 비만율이 45% 이상이라는 뉴스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외면, 운동 시설의 부족으로 장애인들이 고통받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런 문제점도 해결하고, 그동안 배운 전공 지식을 살려 일종의 재능 기부를 하자는 취지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중점을 둔 부분은?
기존에도 장애인용 자전거는 있었지만 최하 138만 원에서 최고 5,000만 원 선인데, 장애인의 평균 월급은 142만 원이라는 점에서 보면 이런 고가의 자전거는 현실적이지 못했다. 사회적으로도 ‘장애인이 무슨 운동이냐’라는 생각이 지배적인 것 같았다. 때문에 레저를 즐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가격도 낮추어 현실적으로 매력 있는 제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 제품의 특징은?
재활 기구로 널리 이용되는 로잉 머신(노 젓는 방식의 운동 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통한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동시에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손색없도록 했다. 로잉 머신은 상체 근육의 85%를 사용할 수 있어 하지 장애가 있는 분들에게 효과적인 운동 기구다. 구동 레버(그림에서 16번)를 몸의 앞으로 밀면 12번 레버를 통해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바뀌고, 체인을 통하여 앞바퀴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구동 레버를 좌우로 밀면 방향이 바뀐다. 등받이(24번)는 구속 장치를 해제하면 23번 시트와 수평이 되어 남의 도움 없이 휠체어에서 바로 미끄러지듯 탑승할 수 있다.
● 어려웠던 점은?
장애인분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 장애인분들의 삶을 너무나 몰랐던 것 같다. 문을 통과하기 위한 휠체어의 폭, 일부 장애인분들은 자신이 타고 있는 휠체어에서 다른 기구로 옮겨 타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 등 생각해야 할 사안이 너무 많았다. 휠체어를 사용하시는 교수님께 조언을 듣는 등 장애인분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노력했다.
● 하고 싶은 말은?
현재 동국대학교와 연계하여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의 마음처럼 수익을 우선하지 않으며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 변화와 동기 부여를 통한 새로운 문화 창출의 시발점이 되고 싶다. 우리의 작지만 무모한 도전이 물결을 흔드는 작은 물방울이 되었으면 하고 장애인 레저 산업 육성 및 인식 변화라는 긍정적인 사회적 현상이 되었으면 한다.
KBS-2TV 인간의 조건
시험 방송 프로그램으로 등장한 <인간의 조건>이 내건 첫 번째 미션은 휴대폰, TV, 컴퓨터 없이 일주일 살기였다. 단 한시도 문명의 이기 없이는 살 수 없을 것 같았던 여섯 남자들은 혹독한 금단 증상을 겪으며 ‘인간다운 삶’으로 되돌아가는 문을 열고 들어섰다.
이렇듯 <인간의 조건>이 내건 첫 번째 미션은 이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바를, 아주 명쾌하게 증명해냈다. 찌든 문명의 때를 벗어가면서 조금씩 잊었던 아날로그의 삶을 되찾아가는 여섯 남자의 일주일간의 체험은 그 자체로 보는 사람들에게 ‘힐링’이 되었으니까.
그리고 이제 두 번째 미션, ‘쓰레기 없이 일주일 살기’가 완료되었다. 첫 번째 미션이 인간 개개인의 삶을 들여다보게 된 과제였다면, 두 번째 미션은 우리가 함께 살아가기 위한 삶의 조건 들여다보기였다.
경쟁적으로 쓰레기 줄이기에 돌입한 여섯 남자들은 처음엔 가장 많이 쓰레기를 배출한 사람에 대한 벌칙으로 오밤중에 마당에 세워놓고 찬물 한 바가지 붓는 식의 여느 오락 프로그램에서 늘 하던 식의 가학성 벌을 주었다. 하지만 차츰 ‘쓰레기를 줄여야 하는’ 것에 대한 공감대가 퍼져가면서 거리에 나가 캠페인 벌이기, 쓰레기 처리 현장 방문하기 등의 ‘논리적 인과 관계’를 가진 벌칙으로 자연스레 변화되었다.
또한 자연스레 쓰레기를 줄이자는 캠페인을 자발적으로 하고, 쓰레기를 줄이고자 마지못해 쓰기 시작했던 ‘텀블러’를 나 하나가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라는 ‘확산’을 낳았다.
그리고 꼼수이건 잔머리이건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각양각색의 방법들이 <인간의 조건>을 통해 소개되었다. 물론 가장 직접적인 결과는 일주일 동안 눈에 띄게 줄어든 여섯 남자들의 쓰레기 배출량이었다. 주체하지 못하던 쓰레기를 이젠 ‘0’ 만들기 미션에 도전할 만큼 여섯 남자의 쓰레기 배출은 놀라보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그건 한시적인 미션일 뿐이다. 미션을 마치고 발표한 소감에서 말했듯이 다시 돌아간 일상에서는 경쟁적으로 쓰레기를 줄이려고 했던 그 시간처럼 살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쓰레기 줄이기’라는 과제가 이제는 그들 삶의 일부분으로 둔중하게 자리 잡았다는 것을 여섯 남자 모두가 공감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실질적 결과인 것이다. 즉, 이제부터가 ‘쓰레기 없이 사는 삶’의 진짜 시작이 된 것이다.
그리고 여섯 남자들의 일주일을 보고 배운 시청자들도 먹을 것을 남기는 데 ‘저어하고’, 재활용의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를 옥죄어 오고 있는 우리 곁의 ‘쓰레기’에 대해 불편해할 것이다. 김준현의 말처럼, 내 집 안에만 없으면 되는 줄 알았던 쓰레기의 ‘실존’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리고 쓰레기 없이 살기가 ‘우리가 함께’ 해나가야 할 과제라는 인식이 자연스레 심어졌다.
그저 매 주말 ‘쓰레기를 부둥켜안고’ 쩔쩔 매는 일상을 들여다보았을 뿐인데, 여섯 남자가 이뤄낸 일주일의 고군분투는, 김준호 회사나 개그콘서트 회의실의 텀블러 사용처럼, 어쩌면 우리도 노력하면 할 수 있는, 해야 할 무엇에 대한 과제를 안겨주었다.
천장 없는 미술관, 벨기에
글&사진 이용한 <시인, 여행가>
“웃지 않으면 울게 된다.” 벨기에의 속담이다.
벨지안들은 아주 심각한 사건에 처했을 때조차 고함을 지르거나 화내기보다는 농담이나 은근한 독설로 구렁이 담 넘어가듯 상황을 비켜나간다. 설령 그 농담이 썰렁한 것일지라도 그들은 기꺼이 웃을 준비가 되어 있다. 여행을 하다 보면, 긴장과 짜증, 기대와 설렘이 혼합된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별것 아닌 것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공연히 사람을 의심하고 주변을 의식하게 된다. 표정은 굳어지고 행동은 부자연스러워진다. 그럴 땐 이렇게 중얼거려 보는 거다. “웃지 않으면 울게 된다.” 억지로 웃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우는 것보다는 웃는 게 나으니까.
여자들만 살던 ‘여자들만의 마을’이 있다. 비헤인호프Begijnhof. 벨기에 지역에 남아 있는 비헤인호프는 헨트를 비롯해 브뤼헤와 안트베르펜, 리르, 디스트 등 12곳에서 볼 수 있는데, 모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비헤인호프는 일종의 수도원 보호소로서, 주로 과부(전사한 군인의 부녀자들), 보호자가 없거나 순결을 맹세한 소녀들, 수녀들이 살던 마을을 가리킨다.
헨트 시가지 서북쪽에 위치한 비헤인호프는 사방이 성과 같은 벽으로 둘러싸인 곳으로, 벨기에에서도 비헤인호프의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으로 손꼽힌다. 철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자 고풍스러운 중세의 집들이 성당과 수도원 안뜰을 호위하듯 둥그렇게 에둘러 있다.
비헤인호프가 일반인에게 조금씩 개방되기 시작한 것은 2차 대전 이후인데, 지금은 많은 일반인도 아예 이곳에 들어와 살고 있다. 이곳의 집값은 헨트에서도 가장 비싸기로 유명하다. 당연히 이제는 비헤인호프가 헨트에서 가장 부자들만 사는 곳이 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이곳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향후 99년 동안만 사유 재산이 인정된다는 것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99년 후에는 다시 국가에 돌려줘야 한다는 얘기다.
둥그렇게 수로가 감싸고 있는 브뤼헤 도심은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세로로 세워놓은 달걀처럼 생겼는데, 그 노른자위에 마르크트 광장과 종탑이 자리해 있다.
종루에 올라 브뤼헤 도심을 내려다보면 북서쪽으로 어스름하게 풍차의 언덕이 보이고, 남쪽으로는 살바토르 성당과 비헤인호프가, 서북쪽으로는 다닥다닥 붙어 있는 고풍스러운 중세 건축물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47개의 종을 거느린 브뤼헤의 종탑(13~15세기 건축)은 벨기에의 다른 종탑 29개와 함께 199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88m, 종의 무게를 다 합치면 무려 27t에 이른다. 사실상 브뤼헤에 와서 종탑을 오르지 않고는 브뤼헤를 보았다고 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은 브뤼헤를 가리켜 ‘천장 없는 미술관’이라고 부른다. 또 어떤 사람은 브뤼헤를 일러 ‘서유럽의 베네치아’라고 한다. 고풍스러운 도시와 수로가 제대로 어울린 브뤼헤에게 이 말은 찬사가 아니라 당연한 수식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