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2TV 인간의 조건

시험 방송 프로그램으로 등장한 <인간의 조건>이 내건 첫 번째 미션은 휴대폰, TV, 컴퓨터 없이 일주일 살기였다. 단 한시도 문명의 이기 없이는 살 수 없을 것 같았던 여섯 남자들은 혹독한 금단 증상을 겪으며 ‘인간다운 삶’으로 되돌아가는 문을 열고 들어섰다.

이렇듯 <인간의 조건>이 내건 첫 번째 미션은 이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바를, 아주 명쾌하게 증명해냈다. 찌든 문명의 때를 벗어가면서 조금씩 잊었던 아날로그의 삶을 되찾아가는 여섯 남자의 일주일간의 체험은 그 자체로 보는 사람들에게 ‘힐링’이 되었으니까.

그리고 이제 두 번째 미션, ‘쓰레기 없이 일주일 살기’가 완료되었다. 첫 번째 미션이 인간 개개인의 삶을 들여다보게 된 과제였다면, 두 번째 미션은 우리가 함께 살아가기 위한 삶의 조건 들여다보기였다.

경쟁적으로 쓰레기 줄이기에 돌입한 여섯 남자들은 처음엔 가장 많이 쓰레기를 배출한 사람에 대한 벌칙으로 오밤중에 마당에 세워놓고 찬물 한 바가지 붓는 식의 여느 오락 프로그램에서 늘 하던 식의 가학성 벌을 주었다. 하지만 차츰 ‘쓰레기를 줄여야 하는’ 것에 대한 공감대가 퍼져가면서 거리에 나가 캠페인 벌이기, 쓰레기 처리 현장 방문하기 등의 ‘논리적 인과 관계’를 가진 벌칙으로 자연스레 변화되었다.

또한 자연스레 쓰레기를 줄이자는 캠페인을 자발적으로 하고, 쓰레기를 줄이고자 마지못해 쓰기 시작했던 ‘텀블러’를 나 하나가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라는 ‘확산’을 낳았다.

그리고 꼼수이건 잔머리이건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각양각색의 방법들이 <인간의 조건>을 통해 소개되었다. 물론 가장 직접적인 결과는 일주일 동안 눈에 띄게 줄어든 여섯 남자들의 쓰레기 배출량이었다. 주체하지 못하던 쓰레기를 이젠 ‘0’ 만들기 미션에 도전할 만큼 여섯 남자의 쓰레기 배출은 놀라보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그건 한시적인 미션일 뿐이다. 미션을 마치고 발표한 소감에서 말했듯이 다시 돌아간 일상에서는 경쟁적으로 쓰레기를 줄이려고 했던 그 시간처럼 살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쓰레기 줄이기’라는 과제가 이제는 그들 삶의 일부분으로 둔중하게 자리 잡았다는 것을 여섯 남자 모두가 공감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실질적 결과인 것이다. 즉, 이제부터가 ‘쓰레기 없이 사는 삶’의 진짜 시작이 된 것이다.

그리고 여섯 남자들의 일주일을 보고 배운 시청자들도 먹을 것을 남기는 데 ‘저어하고’, 재활용의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를 옥죄어 오고 있는 우리 곁의 ‘쓰레기’에 대해 불편해할 것이다. 김준현의 말처럼, 내 집 안에만 없으면 되는 줄 알았던 쓰레기의 ‘실존’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리고 쓰레기 없이 살기가 ‘우리가 함께’ 해나가야 할 과제라는 인식이 자연스레 심어졌다.

그저 매 주말 ‘쓰레기를 부둥켜안고’ 쩔쩔 매는 일상을 들여다보았을 뿐인데, 여섯 남자가 이뤄낸 일주일의 고군분투는, 김준호 회사나 개그콘서트 회의실의 텀블러 사용처럼, 어쩌면 우리도 노력하면 할 수 있는, 해야 할 무엇에 대한 과제를 안겨주었다.

이정희 & 사진 제공 KBS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