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ed for ""

이미경

이미경 작가는 1970년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1994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그동안 개인전 4회와 50여 회의 단체전에 참가했습니다. ‘사라져가고 있는 추억의 따스함’을 한 땀 한 땀 바느질하듯 정성껏 담고 있는 작가의 그림은, 오랜 세월 함께 해온 따듯하고 소중한 정서를 다시 일깨웁니다.

 

 

내가 ‘구멍가게’ 펜화를 연작하게 된 것은 1997년 경기도 광주 퇴촌(退村)으로 이사하고 난 뒤다. 나라가 IMF 진통을 겪느라 허리띠를 졸라매던 시기이다. 집에서 작업실까지 걸어 다니는 일상이 반복되면서 발견한 양철지붕 구멍가게를 촘촘한 펜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아예 ‘구멍가게’를 찾아 여행을 떠났다.

강원도에서부터 전라남도 끝자락까지 십여 년 동안, 구멍가게를 찾아다니며 보았던 우리 현실은 결코 녹녹치 않은 삶의 현장이었지만, 그곳에는 분명 고고함과 여유와 따스함이 함께 쉼 쉬고 있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꽃피고 녹음이 짙어지고 시린 가지 위에 잔설 날리고, 여백의 공간과 시간의 흐름에 버티어선 구멍가게들.

그러한 구멍가게들에서 내 마음도 치유되는 느낌이었다.

동시대의 대표적 서정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내 작업의 모태라면, 그 곁에 엄마가 있다. 터진 옷을 기워줄 엄마의 보물 상자 반짇고리가 있고, 차가운 밤공기를 마시고 집에 돌아오는 나를 위해 묻어둔 포근한 이불 속의 공깃밥이 있다.

투박하지만 서민적인 반짇고리나 모란꽃 문양의 수가 놓아진 이불이나 베개, 그 속의 공깃밥 같은 모성(母性)의 또 다른 기억이 내 작업을 계속하게 할 것이다.

삶의 손때 묻은 이야기, 엄마 품 같은 포근한 미소를 머금게 하는 그림을 내 그림 속에 담고 싶다.

 

_ 이미경 <작업 노트> 중에서

 

 

이미경 개인전- 연연불망(戀戀不忘)
2013. 6. 28- 7.11. 가회동60

http://www.gahoedong60.com/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 60번지

 

 

 

이미경 작. ink pen on paper. 55×55cm. 2010.

,

이미경 작. acrylicink pen on paper. 55×45cm. 2012.

,

이미경 작. ink pen on paper. 100×60cm. 2009.

,

이미경 작. acrylicink pen on paper. 50×40cm. 2012.

,

이미경 작. acrylicink pen on paper. 80×53cm. 2012.

,

이미경 작. acrylicink pen on paper. 40×38cm. 2012.

,

이미경 작. ink pen on paper. 69×44cm. 2007.

,

이미경 작. acrylicink pen on paper. 180x120cm. 2012.

김주원

소복소복 조용히 내리는 눈 소리
한 발짝 내딛기도 조심스럽다.
고요한 평화와 적막감 속에서 만난 꿈같은 풍경
그 아름다움을 카메라로 담을 때의 경이로움
자연만이 줄 수 있는 선물이다.

‘WHITE’ 꾸미지 않은 순수함.
즉, ‘우리 땅의 있는 그대로의 아름다움’이다.
어쩌면 눈이 내려야만 볼 수 있는 세상 ‘WHITE’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 또한 순수하게 드러난다.
필요 없는 것들은 깨끗이 정화시킨다.
평온해진다. 

– 사진가 김주원 

사진가 김주원님은 월간 <포토넷> 기자를 거쳐 현재는 사진 에이전시 ZAKO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WHITE 시리즈는 폭설이 내리는 강원도와 서해안 지역 등지에서 5년간(2009~2013) 촬영해온 작업으로, 2012년 스페인 현대 미술 비엔날레에도 초대된 바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좋은 사진을 만드는 김주원의 DSLR 사진입문> 등이 있습니다.
작가 홈페이지 (http://kimjoowon.smugmug.com)

 

 

,

,

,

정일

월간 <마음수련> 2014년 5월호 ‘에세이 앤 갤러리’와 함께한 정일 작가는 1958년 생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습니다. 1990년대 독일, 파리에서 작품 활동을 했고, 그동안 서울, 독일, 파리, 스톡홀름 등에서 30여 회의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한국미술50인 유네스코초대전, 도쿄아트엑스포, 한국현대미술전 등 200회가 넘는 그룹전 및 아트페어에 참석했습니다.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어린 시절의 아름다운 동화가 생각나는 환상적인 그의 그림은, 우리가 잊고 사는 현실 저편의 아름다운 세계를 떠올리게 합니다.

내 작품에는 나비와 모자 등 여러 가지 이미지가 중첩되어 있다.
그건 모두 책 한 권이 가져다 준 영향 때문이다.
생 텍쥐베리의 어린 왕자.
마흔 언덕에 다시 만난 어린 왕자는,
세상에 떠밀려 앞으로만 달려가던 메마른 영혼에
부드럽고 포근한 향기를 전해주었다.
그 속에서 나는 진실로 하고 싶었던 나만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화창한 봄날의 꽃바람. 누구도 의식하지 않고 벌거벗고 멱을 감던 강가,
그 강물 속에서 바라보았던 푸른 하늘. 하얀 눈송이 피어나던 겨울 아침….
항상 슬픈 방만 기웃거렸던 나에게
다시금 어린 시절의 아름다운 동화를 생각나게 했다.
나비, 피아노, 모자, 달, 사람, 촛불, 하얀 침대, 귀뚜라미….
어린왕자에게 받은 선물들은 그렇게 하나씩 내 그림 속으로 들어와
지금도 나와 함께 춤추고 있다.

_ 작가의 글 중에서

22×27cm. Oil on canvas. 2013.

,

60.6×72.7cm. Oil on canvas. 2013.

,

93×61cm. Oil on canvas. 2009.

,

45×54cm. Oil on canvas. 2012.

,

61×93cm. Oil on canvas. 2013.

,

91×60cm. Oil on canvas. 2005.

,

260×194cm. Oil on canvas. 2005.

,

62×93cm. Oil on canvas. 2005.

,

24.5×34cm. Oil on canvas. 2014.

김은술

월간 마음수련 2014년 3월호 ‘에세이 앤 갤러리’와 함께한 김은술 작가. 작가는 숙명여자대학교 회화과와 동 대학원 조형예술학과를 졸업하고 2010년 첫 개인전을 열었으며, 바로 그해 경향미술대전 한국화 대상을 받으며 주목을 받습니다. 이후 5번의 개인전과 30회 이상의 단체전을 여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작가는, 자신이 경험한 어린 시절의 추억들을 바탕으로 현실과 상상을 오가며 봄날의 소풍 같은 추억들을 자유롭게 그려냅니다.

 

 

나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아이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그림을 그린다.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본 사람들이나 사물들은 독특함으로 가득 차 있다.
우리가 볼 수 없고, 지나치기 쉬운 것들을 새로운 방법으로 보여준다.
이 그림들을 보며 많은 이들이 잠시나마 각박하고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
즐거웠던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잠시나마 미소 짓고 가슴이 따듯해졌으면 좋겠다.
나 또한 그림을 그리며 천진난만한 아이의 시선을 잃지 않고
세상을 바라보고 살아갈 수 있기를 바라본다.

 

– 김은술 ‘작가 노트’ 중에서

 

 

 

 

 

김은술 작. 91×72cm. 장지에 채색. 2010.

,

김은술 작. 116×91cm. 장지에 채색. 2009.

,

김은술 작. 91×116cm. 장지에 채색. 2007.

,

김은술 작. 91×116cm. 장지에 채색. 2011.

,

김은술 작. 27×22cm. 장지에 채색. 2013.

,

김은술 작. 91×72cm. 장지에 채색. 2010.

,

김은술 작. 91×72cm. 장지에 채색. 2011.

,

김은술 작. 130×162cm. 장지에 채색. 2007.

,

김은술 작. 91×116cm. 장지에 채색. 2011.

전중호

전중호님은 1983년 건국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2013년 단체전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One Room One Photo’전, 개인전 ‘Peace를 찾아서’를 열었으며, 아름다운 땅 체코에서 평화를 주제로 사진 작업을 계속 해오고 있습니다.

2013년

,

2013년

,

2013년

,

2013년

,

2013년

,

2013년

,

2013년

박강섭

박강섭님은 국민일보 관광전문기자로 한국관광기자협회 초대회장을 역임하고, 한국관광공사 ‘이달의 가볼 만한 곳’ 선정위원과 국립공원관리공단 자문위원과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서로 <여행기자들이 다시 찾고 싶은 여행지 I, II, III> <우리나라 그림 같은 여행지>를 펴냈으며, 국내관광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2010 한국 관광의 별’을 수상했습니다.

 

,

,

,

,

정기호


정기호 화백은 프랑스에서 활동 중인 작가로, 1939년 일본 오까야마 현에서 출생했으며, 미술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화가로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1995년부터 프랑스 파리에 거주하며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서울과 파리에서 20여 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을 열었으며, 프랑스 화단에서 ‘정기호는 현대 회화의 영웅이다. 색의 전사이며, 음악가 없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라는 극찬을 받기도 했습니다.

 

 

외투 안주머니에는 언제나 4B연필 몇 자루가 들어 있다.

외출할 때도 반드시 연필과 스케치북을 가지고 다닌다.

왼쪽 어깨는 아래로 처져 있고 오른쪽 어깨가 위로 솟았다.

그림을 그리느라 오른쪽 팔을 지나치게 많이 써서다.

그림 그리는 게 정말 재미있다. 그림 그릴 때의 나는 어린아이처럼 행복에 차 있다._ 정기호

 

정기호 작. 72×60cm. Oil on canvas. 2009.

,

정기호 작. 34×24cm. Oil on canvas. 2008.

,

정기호 작. 72×60cm. Oil on canvas. 2008.

,

정기호 작. 130×160cm. Oil on canvas. 2008.

,

정기호 작. 72×60cm. Oil on canvas. 1972.

,

정기호 작. 72×60cm. Oil on canvas. 2000.

,

정기호 작. 90×72cm. Oil on canvas. 2005.

,

정기호 작. 53×45cm. Oil on canvas. 2008.

,

정기호 작. 72×60cm. Oil on canvas. 1980.

,

정기호 작. 100×80cm. Oil on canvas. 2006.

이왈종


이왈종 화백은 1945년 생으로, 30대부터 인기작가 반열에 올랐던 그는 1971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서울, 뉴욕, 파리, 도쿄 등에서 25여 차례의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 활동하다 1991년 제주도로 훌쩍 떠난 그는 이후 수묵 위주에서 밝고 화사한 색채의 사용, 목조, 판각, 한지부조, 설치 등 더욱 확장된 작품 세계를 보여줍니다. 좋은 작품은 평상심에서 나온다고 하는 작가는 항상 ‘욕심을 버리고 집착을 끊자, 중도의 길을 걷자’고 늘 생각한다 합니다.

 

 

작가 이야기

 

제주 생활의 중도(中道)라는 단일명제로 작업해온 지도 어느덧 20년이 흘렀다.

시간의 힘으로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듯하다.

검은 머리가 백발로 눈썹도 또한 새하얗게 변했다.

그동안 뜰에 핀 동백꽃, 수선화, 매화, 밀감꽃, 엉겅퀴,

그리고 이름 모를 들꽃들에 취했고

비둘기, 동박새, 참새, 꿩, 까치, 직바구리, 비취새들이 마당에 날아와

목을 축이고 첨벙대며 목욕하는 모습을 보면서 즐거웠던 시간들.

새들과 풀벌레들의 노랫소리 듣고 있노라면

‘이곳이 천국이다’ 느꼈고 늘 몽환적인 꿈속에서 사는 듯했다.

내 마음의 평화와 진정한 자유란 어디서 오는가

생각하는 동안 삶의 무상함을 실감했다.

이미 늙은 몸은 허약하고 말랐으나 온갖 꽃들과 새를 벗 삼아

살아가는 나는 마음만은 풍요롭다.

마당의 동백나무에서 뚝뚝 떨어진 동백꽃을 보며 지나간 시간을 뒤돌아보니

서귀포의 친한 친구들도 동백꽃처럼 뚝뚝 떨어져 갔음을 회상한다.

‘존재하는 것은 꿈이요 환상이요 물거품이며 또한 그림자와 같다’는 법문이 실감난다.

몸과 마음속에서 악취 나는 것을 씻어내는 마음공부를 하면서

모든 존재는 연기(緣起)에서 이뤄지고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평등하다는 것을

하얀 종이 위에 담는다.

– 이왈종, 작가 노트

 

이왈종 작. 60.5×73cm. 장지 위에 혼합. 2010.

,

이왈종 작. 125×170cm. 장지 위에 혼합. 2012.

,

이왈종 작. 72.5×60.5cm. 장지 위에 혼합. 2012.

,

이왈종 작. 46×38cm. 장지 위에 혼합. 2010.

,

이왈종 작. 60×72cm. 장지 위에 혼합. 2012.

,

이왈종 작. 41×32cm. 장지 위에 혼합. 2011.

,

이왈종 작. 48×33cm. 한지 부조 위에 혼합. 2007.

,

이왈종 작. 53.5×45.5cm. 장지 위에 혼합. 2012.

이동춘

사진가 이동춘님은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82년 신구대 사진학에서 사진을 전공하고 1987년부터 10년간 출판사 디자인하우스에서 에디토리얼 포토그래퍼로 일하며 여행, 리빙, 푸드 등 다양한 분야의 사진을 찍어왔습니다. 현재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종가 문화 사진을 촬영하며 선현들의 의(義)와 정신을 담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사진집으로는 <차와 더불어 삶> <한옥, 오래 묵은 오늘> 등이 있습니다. 

북촌 한옥 _ 서울 종로구 가회동.

,

김동수 가옥 _ 전북 정읍.

,

군자마을 후조당(後彫堂) _ 경북 안동 군자마을.

,

군자마을 후조당(後彫堂) 사랑채 _ 경북 안동 하회마을.

,

군자마을 충효당(忠孝堂) _ 경북 안동 하회마을.

미쉘 들라크로와(Michel Delacroix)

 

프랑스 화가 미쉘 들라크로와(Michel Delacroix, 1933~)는 오늘날 전 세계인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화가 중 한 명입니다. 그는 그가 태어나고 자라고, 현재까지 살고 있는 파리의 구석구석을 50년이라는 긴 세월에 걸쳐 ‘그 시절의 파리’라는 이름으로 표현해내고 있습니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현대 예술가 작위’를 수여받았으며, 현재 세계 여러 박물관에 그의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시적이었던 과거의 시간들을 그리다

정말 기분 좋은 형제들과의 시간, 영감이 있었던 꿈같은 장소.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고 간직하고 싶은 마법과도 같은 도시, 파리.
이상적이면서도 평범하고, 동시에 고요함과 평화 가득한
미쉘의 작품에는 낭만이 가득 차 흐르고 있다.
도시의 이름이 무슨 상관인가.
그의 그림들은 잊고 싶지 않은 유년 시절,
내 곁에 있어주었던 그때의 사람들을 떠올리며 미소 짓게 할 뿐이다.

 

자료 제공_ 문화랑(www.moonfinearts.com)

 

미쉘 들라크로와 작. 95.5×82cm. serigraph on paper.

,

미쉘 들라크로와 작. 65.5×54.5cm. serigraph on canvas.

,

미쉘 들라크로와 작. 72×59.5cm. serigraph on canvas.

,

미쉘 들라크로와 작. 58×94.5cm. serigraph on canvas.

,

미쉘 들라크로와 작. 43.5×54cm. serigraph on paper.

,

미쉘 들라크로와 작. 92×80.5cm. serigraph on paper.

,

미쉘 들라크로와 작. 79.5×70.5cm. Lithograph on paper.

,

미쉘 들라크로와 작. 72×53.5cm. serigraph on canvas.

,

미쉘 들라크로와 작. 87×73.5cm. serigraph on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