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겨울 가장 찬란하게 빛나리 _자작나무

사진 & 글 박강섭 국민일보 기자. <우리나라 그림 같은 여행지>의 저자

하얀 피부로 인해 ‘숲 속의 귀족’이라 불리는 자작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백두산 일대와 강원도 지역에서 볼 수 있다. 북위 45도 이상의 추운 지방에서 잘 자라며, 기름기가 많아 탈 때 ‘자작자작’ 소리를 낸다고 해서 ‘자작나무’다.

자작나무는 우아하다. 엄동설한의 추위를 맨몸으로 받아내면서도, 그 장엄함과 아름다움을 잃지 않는다. 하늘을 향해 거침없이 곧게 뻗어 올라간 자작나무들의 희디흰 직선은 한겨울의 흰 눈과 만나 보석이 된다. 태양 빛을 받으면 또 그렇게 고스란히 붉은 빛깔과 하나가 된다. 추위 속의 당당함, 범접하기 어려운 웅장함, 그것이 자작나무다.

△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 숲

△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 숲

자작나무는 역사다. 얇은 껍질 9개가 겹겹이 싸여 있는 자작나무는 매끄럽고 질겨서 종이 대용으로 쓰기도 했다. 경북 경주의 천마총에서 발견된 천마도는 자작나무 껍질에 그려진 것이다. 또한, 잘 썩지 않는 특징이 있어서 백두산 지역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자작나무 껍질에 싸서 묻었고, 심마니들은 산삼을 캐면 자작나무 껍질에 싸서 보관하기도 했다.

자작나무는 빠르다. 귀한 건축물의 기둥과 대들보로 쓰이는 소나무인 금강송의 경우 20m 자라는 데 200년이 걸리는 반면, 자작나무는 20년이면 충분하다. 다른 나무들에 비해 성장 속도가 5~10배 빠른 셈이다.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산불과 병충해로 인해 나무가 사라진 자리를 대신해 자작나무를 심어왔다.

자작나무는 지혜다. 20~30m 높이로 자라는 자작나무는 햇빛을 흡수하기 위해 높은 가지인 우듬치를 제외하고는 스스로 모든 가지를 도태시키는 아픔을 감수한다. 가지가 떨어지면서 생긴 검은 생채기는 하얀 껍질과 어우러져 기하학적 무늬로 표현된다.

이 겨울, 자작나무 숲을 한번 거닐어보면 어떨까. 겨울철 낙엽마저 떨군 하얀 자작나무 숲을 마주하는 순간 빛으로 가득한 세상과 마주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따뜻한 햇살마저 비춰질 때 반짝반짝 빛나는 자작나무 숲은 그야말로 동화 속 설국처럼 은가루를 뿌려놓은 듯한 장관을 이룬다. 순백의 수직선들이 만들어내는 한 폭의 수묵화에는 고요함과 편안함이 나지막이 흐른다. 그곳에 세상의 모든 빛이 차곡차곡 저장돼 있다.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두문동재의 상고대가 핀 자작나무

Leave A Comment